네트워크_Network & Security

IPsec 뽀개기 #2 (VPN)

톰형 2022. 5. 28. 23:54

VPN(Virtual Private Network) 는 이와 같은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준다.

-IP 패킷 이하를 캡슐화(Encaptulation) 와 동시에 데이터의 암호화/인증방식을 협상하는데 이런 기술을 Tunneling 이라고 한다.

터널링 프로토콜로는 IPsec, PPTP/L2TP, SSLVPN 등이 있다.

IPsec VPN 은 Site to Site 방식으로만 사용된다고 알려져있지만 End point to <-> 장비 간의 터널링에도 사용된다.

패킷 인증/암호화를 하는데 AH(Authentication Header), ESP(Encapsulating Security payload) 가 사용된다. 보통 ESP 를 보통 많이 사용하는데 ESP 는 기밀성과 인증을 제공하는 반면, AH 는 Authentication 만 제공하기 때문이다.

또 암호화(Encryption) 을 위해서 des, 3des, aes-128-cbc, aes-128-ccm, aes-256-gcm 등등 알고리즘이 사용되며

인증(Authentication) 을 위해서는 md5, sha1, sha256, sha384, sha512 등이 사용된다.

AH의 경우 Encryption 은 지원 안한다.

IPsec

- IKE (Internet Key Exchange) , 2 phases,

똑같은 IKE 세팅이 두 장비간에 존재

IKE Phase1: Identify each other, Authenticate, Key exchange --> Establish a SA (Security Association) for Phase2, UDP port 500 (Diff Hellman Key)

IKE Phase2: HAGLE, IPsec Crypto setting (ESP), 실제 터널링 맺음

H: Hash

A: Authentication

G: DH group

L: Lifetime

E: Encrytion (symetric)

ESP 헤더 구조